차트분석

cpi와 금리결정, 관세이슈와 인플레이션, 미중 무역전쟁과 달러

물타는주식인 2025. 2. 10. 12:17
반응형

경제와 금리에 큰 영향을 미칠 cpi지수가 예상에 부합하거나 높을 예정이다.

고용지표도 좋고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칠 관세가 물가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https://radiokorea.com/news/article.php?uid=464260

앞선 고용지표에서 실업률이 낮아지며 많은 사람들이 돈을 버는 만큼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거라는 예상을 할 수 있어 더욱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는 중이다.

 

임금상승현상은 미국은 물론, 일본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금리인하의 명분이 더욱 없어지고 있다.

https://news.nate.com/view/20250210n03941

한국 역시 이런 영향에 대응해야하는 상황이다.

내부적으로는 정치리스크가 있고 외부적으로는 관세,물가 이슈가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했을 때 우리가 먼저 움직일 수는 없다.

아마 금리 동결의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https://www.thepublic.kr/news/articleView.html?idxno=250010

다만 금리인하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에

작년에 비해서 매수세가 들어오고 있다는 점은 좋은 현상이지만,

이러한 움직임에서 세계정세가 불안하다면 국내시장의 매수세가 다시 실망매도로 돌아갈 수 있다.

 

트럼프는 바이든에 비해 연준을 흔들고 있다.

정치로부터 자유로워야 할 독립기관인 연준에 압박을 하는만큼 연준의 독립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트럼프관세가 협상용이 아닐까 하는 시선으로 돌려져 한숨을 놓긴했다.

https://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1886

그러나 이는 희망사항이었나보다.

트럼프는 계속해서 관세이슈를 키우고 있다.

과연 잘 협상할 수 있을까?

중간에 낀 한국만 새우같은 상황이 되었다.

달러 역시 민감한 반응이다.

하락추세에는 있지만 볼린저밴드하단을 지지하면서 50일선을 이어나가고 있다는 점, 그리고 빨간구름떼 돌파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주 달러 역시 상승의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