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분석

대한민국 글로벌 30 수출 순위와 주식관계

물타는주식인 2024. 12. 29. 13:10
반응형

11월까지의 수출과 수입 통계는 수출이 근소하게 앞서서 452달러의 무역수지를 기록.

수출 1위 중국 (1212.3억달러)

반도체 35%

수출1위는 단연 중국

중국 대외의존도가 높다고 하는데, 사실 경제구조상 중국은 반드시 필요하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앞서가는 하이닉스,

쫓아가는 삼성전자의 기사헤드라인처럼

내년은 삼성전자가 어떤 성과를 보일지가 중요해졌다.

2위 미국 (1,158.9억 달러)

자동차 27.6%, 자동차부품 6.5% -> 34.1%

반도체 7.9%

그리고 다음은 미국.

자동차의 비중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한국의 자동차 관련 종목이 미국의 무역정책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num=378282

트럼프는 공약에서 알렷듯 중국의 관세를 높인다고 했는데 사실 이렇게 올리게 되면 미국도 타격을 입게 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세부조정을 할 거라는 예상이다.

중국규제로 인해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어갈 듯하나, 이것도 정도껏해야지 넘치면 우리도 피해보게 된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661621_36515.html

그러니 현대차기아는 지난 트럼프 대통령시기였던 2017년 타격을 입는 피해를 겪기도 했다.

3위 베트남 (534억달러)

반도체 30.9%

아시아중엔 두 번째로 수출액이 큰 베트남엔 반도체, 디스플레이등을 수출하고 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41816434176741

포스트차이나라고도 불리는 나라인만큼 성장세가 뚜렷하고, 미중갈등과 중국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전략국가이기도 하다.

4위 홍콩 (317.6억달러)

반도체 73.9%

홍콩에는 높은 비율의 메모리반도체를 수출중이다,

5위 대만 (296.3억)

반도체 62.5%

tsmc로 엔비디아와 더불어 살아가는 대만에게는 집적회로반도체를 수출한다.

대만은 대표적인 파운드리 기업으로써 제품생산에 필요한 물품을 수입하며 엔비디아에 공급한다.

그렇게 tsmc는 한우물만 파서 글로벌 대표기업이 되었다.

 

6위 일본 (269.6억달러)

석유제품 22.7%

화학제품에도 고부가가치를 지닌 제품이 있는데 이것을 활용한 수출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일본의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무역이 활발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 모두 수중심국가이며, 비슷한 물품을 수출하는 경쟁국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은 자급률이 높은 국가로 굳이 수입을 하지 않아도 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한국일본의 정치적갈등요소도 있다보니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에 비해선 불안정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중국과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최근엔 k뷰티, k푸드등 한류가 열풍한다고는 하지만, 이는 아직까진 무역에선 미미한 효과를 지니는듯하다.

7위 인도 (170.2억달러)

반도체 15%

인도의 전자 산업 인프라 구축에 의해 반도체 수출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8위 싱가포르 (164.8억달러)

석유제품 31.9%

싱가포르 역시 홍콩과 비슷한 허브역할을 하는 국가다.

9위 호주 (144.4억달러)

석유제품 56.7%

관세에 자유로운 호주에는 정제된 석유제품을 주로 수출한다.

멕시코의 최대장점은 미국에 붙어 있다는 것이다.

멕시코는 이를 최대한 활용해서 공장투자를 받고 있다.

11위 말레이시아 (96.4억달러)

석유제품 23.9%, 반도체 22.1%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4/11/25/6CG7HLQDY5FRLBZZFXPAD45FRE/

말레이시아 역시 중요한 나라다.

12위 캐나다 (94.9달러)

자동차 50.9%

13위 필리핀 (94.3억 달러)

석유제품 36.3%

14위 독일 (84.3억달러)

: 유럽 국가 중 1위

자동차 13.9%,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10%

15위 튀르키예 (82.7억달러)

철강판 14.5%

16위 폴란드 (81.1억달러)

:방산이 한몫함

무기류 27.4%

18위 태국 (70.7억 달러)

철강판 14.4%, 반도체 10.9%

 

19위 네덜란드 (62.8억달러)

자동차 12.9% 컴퓨터 10.3%

20위 영국 (61.5억 달러)

자동차 35.5%

21위 프랑스 50.1억달러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26.7%, 자동차 22.5%

22위 헝가리 (48.8억 달러)

정밀화학원료 33.2%, 농약 및 의약품 24.7%

23위 브라질 (48.4억달러)

반도체 24.9%

24위 사우디아라비아 (47.7억 달러)

자동차 29.1%

25위 uae (46.6억달러)

자동차 10.6%

26위 이탈리아 (44.7억달러)

철강판 20.5%

27위 라이베리아 (44.7억 달러)

선박해양구조물및부품 99%

28위 러시아 (42.4억달러)

자동차 13.5%

29위 벨기에 (40.2억달러)

자동차 14.3%

2024년 수출품목에서 올해의 주식은

반도체 : sk하이닉스

비록 현재도 진행중이긴 하지만,

시가 139700원에서 시작한 하이닉스는 248500원으로 약 75%상승했으며 현재는 약 50%하락한 174500원을 기록하고 있다.

약 50%하락을 했어도 약 23%의 상승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올해의 반도체 종목중하나가 아닐까?

선박부분에선 당장 생각나는 건 현대미포

시가 84800원에서 고가 142500원으로 67%대 상승

지금은 약간 하락했지만 아직 59%대 상승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최고의 종목은 아마 현대일렉트릭

무려 403%대나 상승했으며 지금도 376%를 유지하고 있다.

24년은 위기였지만 나름 선방한 한 해이기도 했다.

25년 전망은 좋지 않다.

상승하는 달러, 트럼프 리스크, 24년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25년, 자국 내 정치리스크, 금투세 상법개정의 필요성

아직 며칠 남았지만

24년의 코스피는 2645로 시작해서 2896까지 상승했으나 현재 2404를기록중이다.

최근 몇 년간 연속음봉은 13,14년 이후론 없었는데

25년엔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봉이길 바라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