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계엄이 있어서 상승했다기보단
그전 부터 달러는 상승중이였다.
계엄이 터진 후 급상승을 했고 그 이후로도 추가 상승을 하고 있고

12.27 추가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또 한번 상승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정치리스크에 따라서 환율이 변동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때문에 정치적 안정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게 멈출줄 모르고 상승하던 달러는 27일이후로는 비슷한 자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거는 누가봐도 환율개입이다.
다만 환율방어는 먹히지 않고
모두가 예상하듯 달러 1500시대를 예상하고 있다.


외환보유고리스크는 = imf리스크를 동반하기 때문에 다른 무엇보다 중요하다.
계엄령으로 역사가 반복되듯 imf또한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

그런데 이 상황이 이어지다보니 4000억 대가 깨지냐 지키느냐가 중요해졌는데

11월에 4154에서 12월은 4000이하가 될 거라는 전망이 있다.
12월엔 달러를 지키기 위해서 계속해서 달러방어를 했다는 점이 그 이유다.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 외환보유액은 2007~2009년에 글로벌이슈로 인해 빠지긴 했으나 우상향한 것을 볼 수 있다.
문제는 지금처럼 이렇게 하락하고 있는 경우는 07~09년이후 처음이다.
그만큼 현재의 상황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가 수출중심국가라서 환율이 오르면 좋은게 아닌가

답은 그렇지는 않다.
우리나라는 수출국가이면서 수입국가이기 때문이다.
달러대비 원화가치가 하락한다면 장기적으로 불리할 수 밖에 없다.
거기다

나스닥이 한 해 34.6~29.81%를 기록하고 있는데

24년 달러 상승도 14%를 해서
적어도 나스닥과 달러를 합치면 40~50%의 수익이 있다.
반면 코스피는

약 -10%
그리고 달러 대비 -14%를 합하면 약 -24%이상의 하락이 나왔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달러가 안정화되려면 무엇보다 정치리스크 완화다.
국힘과 윤석열은 나라를 일단 안정화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차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프트업, 산일전기 종목 차트분석 (1월 의무보유해제) (0) | 2025.01.01 |
---|---|
24년 미국주식 마감, 이젠 리밸런싱이 필요하지 않을까? 2 (1) | 2025.01.01 |
24년 마지막 하루, 비트코인 외 주요알트코인 정리 (0) | 2024.12.31 |
24년 국내주식 년차트분석과 예상 (2) (4) | 2024.12.31 |
24년을 전망했던 23년 포스팅 리뷰 2 (0) | 2024.12.30 |